사회혁신 디자인의 영향과 평가
- 관리자
발표자: 요코 아카마 (호주, RMTI대학교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과 교수)
사회혁신 디자인에서 가장 중요한 의제는 무엇인가?
Sovereign Weaving Treaty
사회혁신디자인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신뢰를 구축하고, 협업하며 어떠한 문화나 장소, 이웃과 함께 하는 것이다. 현재 진행중인 Sovereign Weaving Treaty 프로젝트는 호주 원주민들과 함께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문화를 새롭게 발견하고 관계를 강화하기 위한 프로젝트이다. 원주민들은 식민지배의 경험이 있어 그 영향을 극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그들이 참여할 수 있는 행사를 주최하고, 우리는 그들과 차를 마시고 식사를 하는 등 소통하면서 어떤 문화적인 차이가 있는지 배우는 시간을 가졌다. 원주민이 아닌 외부인으로서 지역사회의 문화적 리더를 따르기 위해서는 어떠한 존중과 상호 협업이 필요한지 알 수 있었고 이는 연구에 있어 매우 중요한 내용이었다.
- 근거를 통한 역량 강화 Building evidence and capacity
미얀마의 비영리 단체 Point B Design+Training와 함께한 또 다른 프로젝트는 역량 강화에 대한 것으로, 커뮤니티에 정보를 제공하고 활성화시켜 업무를 구성하고 결과를 공유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미얀마 내 커뮤니티와 함께 진행하면서 참여한 사람들에게 어떠한 변화가 가장 두드러지는지 관찰했고, 그들이 어떤 문제를 극복했는지, 어떤 인사이트를 얻었는지, 어떠한 신뢰시스템을 구축했고 어떤 도구와 방법이 그들 사고방식에 영향을 주었는지 질문하는 과정에서 크고 작은 영향력을 알아볼 수 있었다. 이 과정의 원칙은 균형 잡힌 관점을 갖는 것으로, 모든 이해관계자의 목적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Point B Design + Training 와의 프로젝트
- 과정과 결과의 도입 Adapt process and outcomes
캄보디아에서 InSTEDD iLab Southeast Asia와 함께 진행된 연구는 오픈태스크 과정을 통한 협업으로 진행되었다. 지역 의료 문제에 대한 혁신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지역사회와 공동으로 도구를 만드는 참여적이고, 디자인 지향적인 프로젝트였다. 취약계층과 소외계층을 위한 프로그램을 고민하였고, 시간적으로나 기술적으로 문제가 있는 사람들을 도울 수 있는 방안을 찾았다. 이들이 쉽게 의견을 내고, 기술을 적용해 평가할 수 있도록 구성했으며 균형 잡힌 기본적 관점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STEDD iLab Southeast Asia
- 이해관계자의 시범적 제안 Pilot proposal with stakeholders
우리는 데이터 수집 도구와 센스메이킹 접근방식을 공동 설계하고 구현하여 지역 사회 구성원이 공동 평가자이자 공동 연구자가 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미얀마의 한 지역 공동 작업공간은 커뮤니티 구성원들이 공동 연구자이자 평가자가 되어 기관을 통해 서로 교류하고 지지하여 구체적 커뮤니티를 생성하고 전문적으로 사회를 돕도록 구성했다. 이는 탑다운 방식이 아니라, 기부자들이 자발적으로 만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었다는 점에서 사회적 혁신공간 중 상당히 독특한 경우라 할 수 있다.
Impact Hub Yangon
- 인사이트의 융합 Synthesise multiple insights
다양한 인사이트를 융합하기 위해서는, 여성, 어린이, 노인, 소수민족을 포함해 참여가 어려운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함께 해야하며 그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말레이시아에서 진행한 Water-Warrior 프로젝트는 캠퍼스 내의 수질 회복과 재활을 위해 수자원 보호운동을 하는 이해관계자들과 함께 진행되었다. 실시간 모니터링으로 전체적인 수질과 에코시스템, 수로 등의 정보를 수집하고 조금 더 많은 사람들이 접근할 수 있도록 소셜 미디어 페이스북을 통해 정보를 공지했다. 이러한 방식으로 역동적인 솔루션을 찾아내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는 것이 가능해졌으며 중요도 높은 문제를 우선시할 수 있었다.
inSTEDD iLab Southeast Asia
- 배움의 공유 Share learning
배움의 공유란 어떻게 일을 해왔고, 그것을 통해 무엇을 배웠는지를 기록하고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는 시간을 가지는 것이다. 이러한 노력과 업적을 축하하는 것 또한 필요하다. 하나의 예시로, 제품이나 서비스를 디자인해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Tandemic의 동료 엠마는 내부적으로 여러 기관과 협업하며 시스템과 인센티브 모델을 만든다. 혁신을 통한 임팩트를 만드는 엠마는 어떤 것을 하는지, 파트너는 무엇을 하는지에 대해 우리 팀에게 많은 정보를 제공해 줌으로써 시간 관리와 기본적인 프로세스에 큰 도움을 주었다. 이렇듯 작은 정보들의 공유는 특정 업무에 소요되는 시간에 대해 우리 팀이 더 정밀하게 데이터를 취합하고 평가할 수 있게 해 주었다. 이는 인터뷰 자료의 공유도 포함된다. 인터뷰가 얼마나 오래 진행되었는지, 어떠한 원칙으로 누구와 어떤 대상을 통해 진행했는지에 대한 데이터를 공유하는 것이다. 이는 집단지성을 이용해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방법론을 의미한다.
말레이시아 국립대학 커뮤니티 연구
- 집단결정의 방법 만들기 Create ways to make collective decisions
집단적인 결정을 내리기 위한 방법을 위해서는 개인의 권한과 위치, 그리고 권력의 차이 여부를 인지하고, 공개하며 이해해야 한다. 실제 태국 시골 지역에서 진행된 프로젝트에서는 거주민들과 함께 제안서를 작성했는데, 미팅에서 자리에 앉는 방식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안하는 과정에서 원형으로 앉아 모두가 눈을 마주치며 토론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해 서로 대칭적인 구조를 만들어 소통을 강화할 수 있었다.
원형의 배치
- 공통의 이해를 공유하기 Develop shared understanding
공통의 이해를 형성하여 공유하기 위해서는 문화, 맥락, 살아가며 느끼는 경험, 훈련, 역할 등에 기초한 편견이나 가정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자기 자신과 타인의 관점, 그리고 신념 체계에 대해 확인하고 항상 말하지 않은 것과 들리지 않은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성공이라는 것의 의미를 탐색하는 것 또한 필요하다. 무엇이 성공을 구성하는지 이해하고 정의하며 어떤 모습일지 이해하기 위해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 태국의 Thammasat 대학에서 진행된 이 연구는 재난에 대비해 지역사회의 회복력을 구축하기 위한 프로그램이었다. 다양한 목적을 지니고 지도와 시각적 툴을 이용해 커뮤니티 지도를 만들었고, 지역 구성원들은 이 지도를 통해 무엇이 중요한지, 어떤 문화 구현이 필요한지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다양한 언어가 사용되었다는 점에서 사람들의 참여도가 높았으며, 도시계획전문가가 아닌 거주민들이 직접적으로 참여해 활동했기 때문에 이런 지도가 만들어질 수 있었다.
Fig.12 Thammasat University Map
사회혁신디자인에서의 효과적인 평가방법과 특징
사회혁신디자인의 평가방법 및 특징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사회혁신과 지속가능 분야의 디자인 시책 사례를 통해 어떻게 아이디어가 융합되고, 공유되며 역량을 구축할 수 있는지, 아이디어와 집단적인 결정을 위한 방법을 어떻게 만들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문화에 뿌리를 둔 공동체 중심의 사회적 혁신의 측정과 평가는 매우 어려운 과제이다. 사례에서 보았듯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성격의 사회혁신 디자인은 전통적인 평가 모델의 적용 적합하지 않다는 점을 인지하여 지속적인 논의를 통해 대안적 접근법을 개발해 나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