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서울디자인국제포럼 목차
인사말 |
김현석 I SDIF 총괄기획 MP (홍익대학교 교수) |
|
1차 사전포럼 I 디자인 동향과 정책방향 ‘주제_Now and What’ |
<파괴적 패러다임 변화 시대의 디자인> 이건표 I 홍콩 폴리텍대학교 디자인대학 학장 |
<도시브랜드 경험디자인의 가치> 최소현 I 퍼셉션 대표 |
<디자인: 통합적이고
수요지향적 근미래 정책의제 발굴을 위한 새로운 도구> 구유리 I 홍익대 서비스디자인전공
교수 |
<미래도시의 사회혁신, 시민참여가 핵심이다> 박남춘 I 서울여자대학교 SI교육센터 센터장 *이건표 학장 강연에 대한 기고 |
<당신에게 서울이라는 브랜드는 무엇인가요?> 오상희 I 前 월간 <디자인>
수석 기자 *최소현 대표 강연에 대한 기고 |
<새로운 세상을 그리는 디자인> 윤성원 (한국디자인진흥원 디지털플랫폼실 수석연구원) *구유리 교수 강연에 대한 기고 |
|
2차 사전포럼 I 미래를 이끄는 디자이너들 ‘연사_Who
and Why’ |
<생활안심(범죄예방) 디자인 확산과정 분석을 통해
본 정책방향> 강용길 I 치안정책연구소 연구원 |
<인지건강디자인 확산을 위한 전략> 전미자 I 한국복지환경디자인연구소 |
강효진 I 서울시 디자인정책과 공공 디자인 사업 팀장 |
|
3차 사전포럼 I 실증적 사례 심층분석 ‘사례_Where
and When’ |
이현성(홍익대 교수) 이종혁(광운대 교수) 서승교(HiDD Group 대표) 홍태의(공공디자인 STU.dio 대표) <토크 1. 알기 쉽게, 편리하게 맞춤형 공공디자인의
가치> |
<토크2. 공공디자인이 변화시킨 일상 속 가치> |
<토크3. 시민이 함께 만든 공공디자인의 가치> |
|
|
환영사 |
오세훈 I 서울특별시장 |
|
개회사 |
최인규 I 서울특별시 디자인정책관 |
|
기조세션 – 이슈와 쟁점 |
제레미 여 I가포르 공공서비스 최고경험책임자 |
|
세션1 : 실천적 방안 |
<동적 시스템의 책임있는 설계를 통한 공유 가치 창출> 피터 하이어 I 미국
IDEO 이사 |
제프 리솜 I 샌프란시스코 겔 건축 최고혁신책임자 |
이나미 I 스튜디오바프 대표 |
|
세션2 : 도시정책 (서울, 일본, 네덜란드) |
<‘DESIGN x Seoul’, 서울시정에서의 디자인의 역할> 김규리 I 서울특별시 디자인정책담당관 |
카토 간지 I 일본 GK Design 그룹 부사장 |
이교석 I 네덜란드 MVRDV 건축사무소 이사 |
|
패널토론 |
좌장 김현석 I SDIF 총괄기획 MP (홍익대학교 교수) 패널 백준상 I 연세대학교 교수 윤혜경 I 연세대학교 연구교수 이현성 I 홍익대학교 공공디자인연구센터 김규리 I 서울특별시 디자인정책담당관 이나미 I 스튜디오바프 대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