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Total (2)
엄마의 마음으로, 지속가능한 뇌성마비 아동 의복디자인
생활 속 불편을 아름답고 효율적으로 개선하는 공공디자인. 공공디자인의 ‘니즈’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상황으로부터 시작된다. 첫째, 문제 상황이 너무 익숙해서. 둘째, 해결 방안을 모색할 방법을 알지 못하거나 관리주체의 사각지대에 있어서. 셋째, 특수한 상황으로 인해 쉽게 발견하지 못할 때이다. 성공적인 공공디자인으로의 첫 출발선이 사용자의 불편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에서부터 비롯되어야 하는 이유다.발달장애인의 마을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가족구성원들이 도시와 주변을 감싸는 환경에서 불편함을 마주하게 되는 요인은 무엇이 있을까? 우리는 유니버설 인식의 확산을 위하여 사회 각 부문에 대한 깊은 관찰과 관심을 가져야 한다. 강직성 뇌성마비와 자폐성 장애와 한쪽 시력을 잃은 20세 청년 가족의 사례를 예로 들면, 그들의 삶 주변에는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산적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발달 장애로 인한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당사자들의 의견은 세상에 원활하게 전달되지 못하고, 당사자 주의가 널리 퍼지고 적용되는 장애 관련 커뮤니티에서도 발달장애는 사각지대에 속해있다. 발달 장애인은 유년기를 마을에서, 학령기는 기관이나 학교에서 보내게 되지만 성년이 된 후에는 마땅히 갈 곳이 없다. 대부분 집에 머물러 있거나 시설로 이주하는 경우가 많은데 최근에는 발달 장애인 및 구성원의 욕구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마을에서 공동체로 함께 지내기를 원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교육을 진행할 곳도, 갈 곳도 없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